명언(2)
명언(2)
1. 財上平如水, 人中直似衡...최인호의 상도에서 의주 거상 임상옥의 가포짐에 나오는 말
재산은 공평하기가 물과 같고, 사람은 정직하기가 저울과 같다....문자를 盈戒杯 밑 바닥에 세겨두고 경계하였다고 함
2. 공자 등 유가...見利思義...이득을 보면 仁義의 관점에서 생각하라
장자... 이로움을 보면 해로움을 생각하라. 禽獸는 이익을 보고 해로움을 잊기 때문에 생명을 일찍 마치게 된느 것이고, 세상 사람들 역시 항상 이로움을 좆고 해로움을 망각하기 때문에 시간, 건강, 정신, 심지어 생명까지도 잃게 된다는 뜻이다.
장자의 열구어편...어떤 사람이 장자에게 관직을 맡기기 위하여 초방하자 장자는 이렇게 말했다...당신은 제사의 희생물로 쓰니는 소를 본 적이 있습니까? 아름다운 문양의 수를 놓은 비단을 입고 좋은 콩과 풀을 먹지만 태묘에 끌려가 제물이 되려할 때에는 아무리 작은 송아지가 되고 싶어도 그것이 가능하겠습니까?
장자의 양왕편...자화자가 소희후 임금에게 말했다. 지금 천하 사람들을 임금님 앞에서 서약서를 쓰게 한다고 칩시다.서약서 문장에는 왼손으로 이 서약서를 잡으면 오른손이 없어진다. 오른손으로 서약서를 잡으면 왼손이 없어진다. 그러나 서약서를 잡은 사람은 반드시 천하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고 씌어 있습니다.임금님께서는 서약서를 잡으시겠습니까? 소희후가 대답하기를 나는 잡지 않겠다. 양팔이 천하보다도 더 무겁다...兩譬重於天下也...
노자의 도덕경 58장...禍兮福所倚요, 福兮禍所伏이라고 했다.
장자가 말하는 즐거움이란 지혜를 통하여 얻은 깨달음일 뿐이다. 장자는 도란 걸어가는憂 데서 이루어진다(道行之而成).
3. 논어의 자로편에 君子和而不同이요, 小人同而不和니라.
4. 노자..절학무우(絶學無憂)라...배움을 그만두면 근심이 없어진다.
맹자..하늘이 장차 사람에게 큰 일을 맡기려 할 때에는 반드시 먼저 그 마음과 뜻을 괴롭혀 뼈마디가 꺾어지는 고난을 당하게 하며, 그 몸은 굶주리게 하고 생활을 빈궁속으로 몰아 넣어 하는 일마다 어지럽게 만드나, 이는 그 마음에 참을성을 길러주어 가능하지 않은 일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맹자...호연지기...를 키우기 위하여 첫째 직(直), 곧아야 한다. 둘째 義로워야 한다. 셋째 道에 맞아야 한다.
5. 공자가 제자들과 대화를 하면서 그들의 포부를 밝힌 것...박일환 대법관 퇴임사에서 인용한 것
자로...수레와 말을 타고 가벼운 가죽옷을 입고 벗들과 그러한 재물을 쓰다가 헤어져 버려도 아깝지 않는 생활을 하고 싶습니다.
안회..내 좋은 점을 자랑하지 말고 공로를 늘어놓지 않기를 바랍니다.
공자... 선배에게 편안함을 주고 동료에게 믿을을 주고 후배에게 본보기가 되는 것입니다.
6. 知音, 伯牙絶絃...伯牙와 鐘子期이야기..춘추전국시대 ..列子의 湯問篇에 나오는 고사
7. 一水四見...불교에서 나온 말..물이라는 같은 대상을 바라봄에 있어서 천상의 존재들은 보석으로 장식된 연못으로, 인간은 물로, 아귀는 피로, 물고기는 사는 집으로 본다.
8. 鷄三狗七牛望黑月
보신되는 육류로 닭은 3일, 개는 7일, 소는 15일, 흑가물치는 1달 간다는 말
9. 功遂身退, 天之道...노자의 도덕경,...공을 이루었으면 물러나는 것이 하늘의 위치다.
10. 서로 박자가 맞는 반복어
싱글...벙글, 얼씨구...절씨구, 금이야...옥이야, 새콤...달콤
11. 꼭 필요한 3가지 소금...황금, 소금, 지금
모두가 싫어하는 금...세금
3통..만사형통, 운수대통, 의사소통
3치...물염치, 파렴치, 후안무치
12. 사마천... 열배 부자는 헐뜯고, 백배 부자는 두려워하고, 천배 부자에는 고용되고, 만배 부자에는 노예가 된다.
13. 중용 14장 君子素其位而行, 不願乎其外( 군자는 처지에 따라 행할 뿐 그 처지 밖에서 뭔가를 바라지 않는다). 불가의 隧緣이나 유가의 素位는 같은 말로 바다를 건너는 부낭이다(是渡海的浮囊)이다.
자기가 놓인 처지에 따라 편안하게 살아가라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