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심에서 집행유예 판결을 받고 출소후 수일 뒤에 입양한 은빈이를 포함한 5명의 가족이 우리 사무실에 와서 같이 점심을 했다.
겨우 걸음마 정도하면서 흰 털옷은 입은 은빈에 대한 그들의 사랑을 보면서 왜 저런 선량한 가족에게 엄청난 시련이 왔는지 도무지 이해하기 힘들다.
더 큰 사랑을 위하여 하느님이 내린 잠시동안의 시련일련지 모르고 또 그들은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검사가 1심판결에 불복하여 고등법원에 항소하였다. 고등법원재판중에도 마음을 놓을 수 없다. 왜냐하면 이건과 같은 죄는 실형이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고등법원 판사는 재판 내내 왜 1심에서 선처가 되었는지 궁금하다는 표정을 짓는다. 어쨋든 고등법원에서 항소가 기각되어 비로소 마음을 놓을 수 있었다.
그후 1여년이 지나 위 사건도 잊혀질 무렵이다. 나는 당시 서울서부지방법원에서 복잡한 민사소송(동업관계)을 진행하고 있었는데, 1년을 훨씬 넘겼지만 해결기미가 없다. 기록만 자꾸 두꺼워 지고, 판사들도 판결로 해결할 수 없는 사건이라며 며차례 조정을 시도하였지만 쌍방 입장차가 너무 크서 번번이 무산되었다.
그런데 어느날 재판정에 가니 종전 부장판사가 바뀌고 전에 본원에서 내형사사건을 담당한 판사가 재판을 진행하고 있엇다. 형사사건에서 그렇게 관대한 처분을 해 주었음에도 내가 인사조차 못해 심히 부끄러웠다.
그러나 내 사건이 진행되자 담당 부장이 나를 알아보고 전에 한 형사사건에 대하여 이야기도 하고 가족들이나 입양아 은빈이도 잘 있는지 물어본다. 나는 은빈이 이름조차도 기억하지 못하는데 담당 부장은 이를 기억하고 있다. 한편으로 놀랍기도 하고 또 많은 고심 끝에 판결이 내려진다는 것을 알만도 했다.
나와 관련된 이야기를 장황하게 하다보니 상대방 변호사가 재판과 관계없는 이야기를 하는 것을 보고 기분이 언짢아 하는 것 같았다.
판사가 이 사건을 맡게된 이유를 이야기 한다. 본원에 있다가 서부지방법원에 오니 법원장이 나보고 골치 아픈 사건을 맡으라 하여 이사건을 맡게 되었다면서 다행이 이변호사가 선임되어 있어 안심했다고 한다.
전에 내가 이변호사님에게 큰 선심을 썼으니 이번에는 이변호사님이 나를 도와 주어야 되겠다고 하면서 화해조정을 시도한다.
조정시 이미 대부분 자료가 기록에 나타나기 때문에 판사는 대충 화해선을 잡고 있다. 또 당사자본인이나 변호사를 설득도 하고 겁도 주기도 한다.
이같은 방법으로 쌍방을 설득하다보니 갭이 1000만원 정도로 좁혀졌다.
그러면 누구에게 약간의 양보를 더 받아 내느냐가 문제인데 판사는 우리 당사자에게 양보를 받아 냈다. 그 방법도 절묘하다. 하다 하다 안되니 판사가 우리 당사자에게 내가 술한잔 사달라고 하면 사주겠느냐고 물어본다. 본인이 그럴 수 있다고 하니 그러면 나한테 술한잔 사준 셈치고 양보해라. 그러면 내가 다음에 만날때 술한잔 사주겠다. 내가 보건데 당신이 양보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양보하는 것이 앞으로 몆배의 덕으로 다가 올 것 같아 이렇게 권한다고 한다.
퇴근 시간이 훤씬 지난 뒤에야 화해가 되었지만 우리 당사자도 기분좋아하고 판사도 기분좋아 하고 상대방 본인이나 변호사도 싫지가 않은 표정이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 (0) | 2010.04.30 |
---|---|
[스크랩] 장애인 (0) | 2010.04.30 |
[스크랩] 사랑의 이름으로(그 이후) (0) | 2010.04.30 |
[스크랩] 피고인을 위한 변명(사랑의 이름으로) (0) | 2010.04.30 |
[스크랩] 살다 보면 (0) | 2010.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