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따름판례]
대법원 1987.07.21 선고 87다카677 판결 [공1987.9.15.(808),1390]
대법원 1987.12.08 선고 87다카639 판결 [공1988.2.1.(817),263]
대법원 1991.07.23 선고 91다12776 판결 [공1991.9.15.(904),2228]
대법원 1991.12.10 선고 91다29828 판결 [공1992.2.1.(913),487]
대법원 1993.02.12 선고 92다45520 판결 [공1993.4.1.(941),976]
대법원 1998.12.22 선고 98다34911 판결 [공1999.2.1.(75),187]
[평석]
계속적 보증의 해석과 관련한 판례 @ 계속적 보증계약의 형식(보통거래약관) 황적인 @ 염기부 경제법판례연구9708선학사
이사직사임후의 계속적 거래에 관한 근보증인의 책임제한 이상선 판례연구2집9002대구지방법원판례연구회
기간과 한도액의 정함이 없는 근보증의 책임한도 @ 대여금 김광년 판례연구1집8801서울지방변호사회
[관련문헌]
이근웅 계속적 보증에 있어서의 보증책임의 한도 법률실무연구, 제1호 / 강원법률실무연구회 1999
김학동 법률행위의 해석 고시계 39권 2호(444호)(94.01) / 국가고시학회 1994
김광년 계속적 보증의 책임한도 판례를 중심으로 법률학의 제문제 : 유기천박사고희기념 (88.06) / 박영사 1988
장재현 약관에 대한 사법적규제의 추이 법학논고 5집(89.12) / 경북대학교 출판부 1989
윤진수 계약 해석의 방법에 관한 국제적 동향과 한국법 비교사법 12권 4호(통권31호)(2005.12) / 한국비교사법학회 2005
오세욱 계속적 보증계약에 있어 보증인의 해지권 판례월보 280호(94.01) / 판례월보사 1994
강영호 사정변경(이사의 퇴직)과 보증채무의 제한 대법원판례해설 28호(97년 상반기)(97.12) / 법원도서관 1997
남두희 회사정리계획에 의한 정리채권자의 보증인에 대한 권리의 변경 판례와 이론 1호(95.02) / 영남대학교법학연구소 1995
손지열 보험외판원의 잘못된 설명과 개별약정의 성립 민사판례연구 12권(90.04) / 박영사 1990
김성필 계속적 보증의 해지권 한양법학 14집(2003.12) / 한양법학회 2003
양형우 반사회적 법률행위에 관한 법적 고찰 사회과학논총 12집(99.12) / 서경대학교 (국제대학) 1999
최종한 할부계약의 유형 및 법적 규제 재판자료 64집(94.10) : 리스와 신용거래에 관한 제문제(하) / 대법원 법원행정처 1994
서정걸 보통거래약관의 규제 사법연수생논문집 20기(91.05) / 사법연수원 1991
장경환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제6조(일반원칙)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창간호(89.12) / 충북대학교 1989
이돈희 계속적 보증계약과 사정변경에 의한 해지권 판례연구 5집(92.01) / 서울지방변호사회 1992
양경승 계속적 보증채무의 확정과 보증인의 책임 사법논집 . 제50집 / 법원도서관 2011
이정일 계속적 보증계약에 있어서 보증채무의 상속 판례연구 14집(2003.02) / 부산판례연구회 2003
권용우 계속적 보증계약과 보증인의 해지권 월간고시 19권 6호(221호)(92.05) / 법지사 1992
박병대 계속적 보증에 관한 고찰 사법논집 18집(87.12) / 대법원 법원행정처 1987
김성필 계속적 보증에 있어서 보증인의 보호 현대법학의 발자취와 새지평 : 평광조성국교수정년기념논문집 (2006.01) / 동간행위원회 2006
오창수 계속적 보증에 있어서의 책임제한 사법행정 33권 5호(92.05) / 한국사법행정학회 1992
김창종 보험대리점·모집인의 지위 재판자료 53집(91.09) : 해상·보험법에 관한 제문제(하) / 대법원 법원행정처 1991
김지형 일반거래약관법론과 그에 관한 판례이론, 2 법조 37권 10호(88.10) / 법조협회 1988
황동룡 연대보증인인 이사 등의 사임과 법적 효과 경영법무 통권36호(97.03) / 한국경영법무연구소 1997
최동홍 근담보의 확정 실무연구자료 5권(2003.12) / 대전지방법원 2003
이건호 계속적 보증의 책임한도 및 해지 최근의 우리나라 판례를 중심으로 법률학의 제문제 : 유기천박사고희기념 (88.06) / 박영사 1988
권오승 이른바 예문해석의 문제점 민사판례연구 15권(93.05) / 박영사 1993
배병일 근담보제도의 비교법적 검토 민사법학 43-2호(2008.12) / 한국사법행정학회 2008
허상수 화장품외판원을 위한 보증인의 책임 판례연구 1집(91.02) / 부산판례연구회 1991
박영복 보증채무의 문제점 민사법학 18호(2000.05) / 한국사법행정학회 2000
백영엽 치료비 보증계약에 있어서의 보증인의 책임범위 대법원판례해설 18호(92년 하반기)(93.06) / 법원도서관 1993
김학동 보증채무에 관한 판례분석 사법연구 4집(99.01) / 한학문화 1999
손지열 약관에 관한 판례의 동향 민사판례연구 10권(88.03) / 박영사 1988
권용우 계속적 보증계약의 사정변경에 의한 해지권 판례월보 260호(92.05) / 판례월보사 1992
권오승 포괄근보증에 관한 일반거래약관의 효력 판례월보 256호(92.01) / 판례월보사 1992
손지열 포괄근저당 조항과 개별약정 법과 정의 : 경사 이회창선생화갑기념논문집 : 이회창 대법관판결의 연구 (95.11) / 박영사 1995
김교창 신용카드에 관한 법적 제문제 신용카드 보증인의 책임 상사법연구 6집(88.11) / 한국상사법학회 1988
박종권 계속적 보증에서 보증인의 보호, 상 사법행정 39권 8호(98.08) / 한국사법행정학회 1998
양창수 계속적 보증에서 보증인의 해지권과 책임제한 민법연구 . 제6권 (2001.06) / 박영사 2007
이순동 보증한도액이 정하여진 계속적보증계약에 있어서 보증인의 책임범위 대법원판례해설 23호(95년 상반기)(95.12) / 법원도서관 1995
장재형 이사의 보증책임 : 이사직 사임과 계속적 보증의 책임제한 판례연구 13집(2000.01) / 서울지방변호사회 2000
[참조판례]
[참조조문]
[본문참조판례]
[본문참조조문]
[원심판결]
[기타문서]
[상급심판결]

대법원 1987.4.28. 선고 82다카789 판결
[대여금][집35(1)민,300;공1987.6.15.(802),863]
【판시사항】
가. 근보증 계약서 문언상 보증기간이나 보증한도액에 관하여 정함이 없는 경우 보증책임의 제한기준
나. 회사의 이사가 회사를 위하여 은행과 연대보증계약을 체결한 경우, 이사의 연대보증 책임의 범위
【판결요지】
가. 근보증 계약서의 문언상 보증기간이나 보증한도액을 정함이 없이 회사가 부담하는 모든 채무를 보증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 보증을 하게 된 동기와 목적, 피보증채무의 내용, 거래의 관행등 제반사정에 비추어 당사자의 의사가 계약문언과 달리 일정한 범위의 거래의 보증에 국한 시키는 것이었다고 인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보증책임의 범위를 제한하여 새겨야 할 것이다.
나. 회사의 이사가 그 이사라는 지위에 있었기 때문에 은행의 대출규정상 계속적 거래로 인하여 생기는 회사의 채무에 대하여 연대보증을 하게 된 것이고, 은행은 거래시마다 그 당시 회사의 이사등의 연대보증을 새로이 받아 왔다면, 은행과 이사 사이의 연대보증 계약은 보증인이 회사의 이사로 재직중에 생긴 채무만을 책임지우기 위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참조조문】
【전 문】
【원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조흥은행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성기
【피고, 상 고 인】 이동욱 소송대리인 변호사 홍현욱, 김중권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82.4.16 선고 81나701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피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 제1점을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심공동피고 대진상사주식회사와 원고은행사이에 1974.12.17 및 1976.9.13에 어음거래약정을, 또한 1974.12.17과 같은해 12.26 당좌계정차월약정을 맺은 사실등은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다고 하고, 그 채택한 증거를 종합하여 원심에서의 위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공동피고들이 1974.12.27부터 1976.12.26까지 사이에 여러차례에 걸쳐 위 회사의 원고에 대한 그 어음거래약정에 기한 채무와 당좌계정차월로 인한 채무에 대하여 현재 부담한 채무 및 기간과 보증한도액의 정함이 없는 일체의 채무에 관하여 연대보증채무를 부담하기로 약정한 근보증계약을 체결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1977.6.30 위 회사에서 퇴직하였음을 이유로 보증책임의 범위 또는 기간을 다투는 피고의 주장을 배척하고 원고은행과 위 회사 사이에서 1977.4.4부터 1978.1.10까지의 어음거래로 인하여 부담한 합계 금 160,249,576원과 1977.12.26까지 차월한 합계 금 105,336,068원을 합친 금 265,615,644원 및 각 금원에 대한 지연이자에 대하여 피고의 연대보증 책임을 인정하였다.
원심판결이든 갑 제1,2호증 및 갑 제25호증 등에 의하면, 위 회사가 원고은행사이에 1974.12.17과 1976.9.13 어음거래약정을, 또한 1974.12.17 당좌계정차월약정을 각 체결함에 있어서 피고가 그 약정서상 보증기간이나 보증한도액을 명백히 함이 없이 위 회사가 그 약정에 의하여 부담하는 모든 채무에 대하여 보증인으로서 연대하여 채무이행의 책임을 진다는 문언으로 된 근보증계약을 체결한 사실은 인정된다.
그러나 이 사건 근보증계약에 있어서와 같이 비록 계약서의 문언상 기간이나 보증한도액을 정함이 없이 위 회사가 부담하는 모든 채무를 보증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 보증을 하게 된 동기와 목적, 피보증채무의 내용, 거래의 관행등 제반사정에 비추어 당사자의 의사가 계약문언과는 달리 일정한 범위의 거래의 보증에 국한시키는 것이었다고 인정할 수있는 경우에는 그 보증책임의 범위를 제한하여 새겨야 할 것이다. 이 사건에서 원심이 채택한 갑 제34호증의 1(차입신청품의서), 갑 제34호증의 5(이사회기채결의서), 갑 제34호증의 7(보증인명세), 원심이 배척하지 아니한 을 제6호증(회사등기부등본), 을 제7호증(대출규정)의 각 기재와 원심증인 안태교의 증언 및 원심의 대출관계서류 검증결과 등에 의하면 피고는 1971.12.23 위 회사의 이사로 취임하였다가 1977.6.30그 직을 사임한 사실, 원고은행은 원고은행의 대출규정에 따라 법인에 대한 대출에 있어서는 사원, 이사 또는 이에 준하는 임원으로 하여금 개인자격으로 연대보증을 하게 하고 따라서 피고 역시 위 회사의 이사로 재직중인 1974.12.17 및 1976.9.13 위 회사가 원고은행과 어음거래약정 및 당좌계정차월약정을 체결함에 있어서 회사를 위하여 연대보증을 하게 된 사실, 원고가 구하는 이 사건 채권은 대부분 피고가 위 회사의 이사직을 퇴임한 후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어느 경우에도 피고가 새로이 어음거래약정서 및 보증서에 연대보증인으로서 서명날인 하거나 발행된 어음에 배서를 한 사실이 없으며 오로지 그 당시 이사였던 원심공동피고 차용대, 김영소, 김일묵 등이 위 회사의 연대보증인이 되어 어음거래 등이 있을 때마다 새로이 어음거래약정서나 보증서를 원고은행에 제출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피고는 위 회사의 이사라는 지위에 있었기 때문에 원고은행의 대출규정상 계속적 거래로 인하여 생기는 회사의 채무에 대하여 연대보증을 하게 된 것이고, 원고은행은 거래시마다 그 당시 회사의 이사등의 연대보증을 새로이 받아 왔다면 원고은행과 피고사이의 연대보증계약은 피고가 회사의 이사로 재직중에 생긴 채무만을 책임지우기 위한 것이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원심으로서는 원고은행이 구하는 이 사건 청구채권중 거래관계의 실질을 파악하여 어음개서등의 형식으로 다루어진 거래관계를 포함하여 피고가 대진상사주식회사에 재직하고 있었던 사이에 이루어졌던 실질적인 거래관계로 인하여 회사가 부담하게 된 채무를 가려서 피고의 연대보증계약의 효력이 미치는 피담보채무의 범위를 정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피고의 연대보증의 효력은 회사 이사직을 퇴임한 이후의 거래관계로 인하여 생긴 채무에까지 미친다고 판시한 조처는 결국 근보증계약의 해석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그 계약내용에 대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였거나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을 저질렀다고 할 것이고, 이는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12조가 규정하는 파기사유에 해당한다 할 것이므로 논지는 이유있다.
그러므로 다른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심리판단케 하기 위하여 사건을 원심인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법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양육비 (0) | 2014.10.20 |
---|---|
군복무 중 선임병의 괴롭힘으로 자살...국가유공자인정판례 (0) | 2014.08.07 |
대표이사 보증책임의 한계 (0) | 2014.02.27 |
비상장주식 (0) | 2013.08.01 |
수용으로 대체취득한 토지의 취득세 (0) | 201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