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俗念(무속념)
장춘진인(長春眞人) 구처기(丘處機)가 지은 무속염(無俗念....속됨이 없는 마음)을 소개합니다.
과거 김용(金庸)이 지은 영웅문 2부 신조협려(神鵰俠侶)에서 김용은 여주인공 소용녀를 빗대 지은 사(詞)로 소개 되었네요.
배꽃을 이렇게 멋지게 표현한 것에 감탄하여 읽고 또 읽은 기억이 납니다.
참고로 장춘진인 구처기는 왕중양(王重陽) 개조한 전진교(全眞敎, 도교의 일파) 5대 진인(眞人, 道士)입니다.
해마다 한식,
배꽃 피는 시절이면
봄놀이가 한창일세.
春游浩蕩(춘유호탕), 是年年(시연연), 寒食梨花時節(한식이화시절)
무늬 없는 흰 비단의 향기 무르익고
옥가지엔 눈발이 꽃망울처럼 쌓였구나.
白錦無紋香爛漫(백금무문향란만), 玉樹瓊苞堆雪(옥수경포퇴설)
고요한 한밤중
수면에 가득찬
차가운 달빛만 녹아흐르네.
靜夜沈沈(정야침침), 浮光靄靄(부광애애), 冷侵溶月(냉침용월)
어우르진 은빛 노을
인간세상을 꿰뚫어 흐르네.
人間天上(인간천상), 爛銀霞照通徹(난은하조통철)
그대는 진정 고사(古射)의 진인(眞人) 이런가.
빼어난 자태에
의기(義氣) 더욱 고결하네.
渾似姑射眞人(혼사고사진인), 天姿靈秀(천자영수), 意氣殊高潔(의기수고결)
천만가지 꽃송이를 어느 누가 형용하랴.
온갖 꽃 향기롭다 한들 견줄바 아니네.
萬蕊參差誰信道(만예참차수신도), 不與群芳同列(불여군방동열)
호연(浩然)한 기개는 맑고도 드높네.
신선의 자태 또한 빼어나니
티끌 쌓인 세상에선 가려내기 어려우라.
浩然淸英(호연청영), 仙才卓犖(선재탁락), 下土難分別(하토난분별)
요대(瑤臺)의 선경(仙景)으로 돌아가노니
동천(洞天)은 끝없이 밝 기만 하여라.
瑤臺歸去(요대귀경), 洞天方看淸絶(동천방간청절)
*玉樹瓊苞...꽃망울을 머금었다가 곧 피기를 기다린다는 의미
*萬蕊參差...원문에는 蕊가 아니고 化임. 만화(萬化)는 만물화생(化生)의 도리를 말함인데, 김용은 이를 고쳐 만예참차하고 함. 예는 꽃을 의미하고, 이는 이화(梨花)를 선인(仙人)이라고 이름한 것임. 기실 구처기는 이화를 관상하다가 만물화생의 도까지 생각이 미친다는 것을 노래한 것이다.
2019. 3. 이선호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생 (0) | 2019.06.19 |
---|---|
나의 농장 (0) | 2019.05.23 |
환생 (0) | 2019.02.24 |
메구(꽹과리)의 추억 (0) | 2019.01.28 |
세월호 배상금 단상 (0) | 2019.01.17 |